IT, 프로그래밍/Linux

[CentOS] Tomcat 컴파일 설치

오리@ 2019. 3. 21. 09:00

서블릿을 구동시킬 수 있는 WAS인 Tomcat을 리눅스에 설치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톰캣 다운로드

  • 다운로드

  • 압축 해제

tar -zvxf apache-tomcat-8.5.38.tar.gz

  • 폴더를 /usr/local/workspace로 이동

mv apache-tomcat-8.5.38 /usr/local/workspace/tomcat8.5


해당 폴더로 이동 후 잘 옮겨 졌는지 확인합니다.



간략하게 호출하기 위해 링크를 생성합니다.



2. 환경변수 설정


톰캣 또한 전역적으로 명령을 실행하기 위해서 환경변수에 등록합니다.

vim 에디터를 사용하여 /etc/profile을 엽니다.

자바 경로 설정 밑에 톰캣 경로를 설정합니다.

export CATALINA_HOME=/usr/local/workspace/tomcat

톰캣을 실행시켜봅니다.

/usr/local/workspace/tomcat/bin/catalina.sh start

ps -ef | grep tomcat 으로 톰캣이 정상 작동 중인지 확인합니다.

톰캣 프로세스가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3. 방화벽 설정


8080포트를 열어주기 위해서 방화벽이 정상적으로 작동되고 있는지 확인합니다.

firewall-cmd --zone=public --add-port=8080/tcp 명령을 통해 8080 포트를 열어줍니다.


현재 열려있는 포트를 확인하여 잘 허용되었는지 확인합니다.

>>firewall 명령어는 여기에 잘 정리되어 있습니다.<<


이제 윈도우에서 현 머신에 설정된 ip 주소와 톰캣 포트인 8080을 가지고 브라우저에서 접속 해 봅니다.


접근이 되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VirtualBox에서는 아직 8080포트에 대한 접근을 포워딩 해주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VirtualBox에서 현재 가상머신 선택 -> 오른쪽 마우스 클릭 -> 설정 -> 네트워크 -> 고급 -> 포트포워딩 으로 가서 8080포트를 설정 해 줍니다.


그러면 톰캣의 인덱스 페이지가 나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4. 서비스에 등록하기


cd /usr/lib/systemd/system

이동하여

vim tomcat.service 명령으로 서비스 파일을 만듭니다.

그리고 아래의 내용을 붙여넣기 합니다.

[Unit]
Description=tomcat8
After=network.target syslog.target

[Service]
Type=forking

Environment=JAVA_HOME=/usr/local/workspace/jdk1.8
User=root
Group=root

ExecStart=/usr/local/workspace/tomcat/bin/startup.sh
ExecStop=/usr/local/workspace/tomcat/bin/shutdown.sh

UMask=0007
RestartSec=10
Restart=always

SuccessExitStatus=143

[Install]
WantedBy=multi-user.target

>>서비스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여기를 참고하세요<<

 

이렇게 하면, 톰캣 서비스가 가상머신이 백그라운드에서 계속 돌게 되기 때문에 터미널을 종료해도 계속 접근할 수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