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열 리스트 (ArrayList)IT, 프로그래밍/자료구조, 알고리즘 2018. 1. 28. 19:12
배열 리스트(Array List)는 배열(Array)을 사용하는 선형 자료구조이다.
배열과의 차이점은, 배열은 중간에 데이터를 빼면 빈 공간이 생겨 메모리 공간이 낭비될 수 있지만, 배열 리스트는 순차적으로 저장된다는 리스트의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중간에 공간이 뻥 하고 뚫려 메모리가 낭비되는 일은 없다.
위의 그림을 살펴보면 6개짜리 char 배열이 생성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그 안에는 A부터 F까지 알파벳으로 초기화 되어 있다.
배열의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리스트의 원소(element)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배열의 인덱스(index) 값으로 접근하여야 한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특정 원소에 접근할 때 빠른 속도로 접근할 수 있다.
다만 추가, 삭제가 자주 일어날 경우 해당 인덱스 뒤에 있는 원소들이 한 칸씩 모두 이동해야 하므로 많은 부하가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
배열리스트에서 구조체를 통해서 배열과 최대 저장원소, 현재 저장원소 등을 관리하면 편하다.
리스트 생성
동적 할당을 통해 최대 저장 원소 n개를 가지는 배열을 생성한다.
원소 추가
순차적으로 4까지 추가한 모습이다.
데이터가 하나 추가될때마다 ArrayList 구조체 안에 있는 currentElementCount도 +1씩 증가한다.
만약 이런 순차적인 증가가 아니라 어떤 포지션(position) 값을 주고 중간에 삽입하려는 구조라면,
리스트는 순차적인 구조이므로 삽입하려는 곳 오른쪽으로 한 칸씩 이동 시켜야 한다.
이로써 삽입이 완료 되었다.
여기서 주의할점은 만약 인덱스 5까지 원소가 가득 차있으면 더 이상 원소를 받아들이지 못하고, Overflow가 발생한다는 점이다. (예외처리 주의)
원소 삭제
원소를 삭제 하는 과정 또한 중간에 데이터를 삽입하는 것과 비슷하다.
삭제할 원소의 position값으로 해당 원소에 접근한다.
해당 원소를 삭제한 후 뒤에 있는 원소들은 왼쪽으로 한 칸씩 이동시킨다.
삭제 후 ArrayList 구조체 안에 있는 currentElementCount를 -1 해준다.
삭제후 정렬이 완료된 모습.
나머지는 리스트 ADT를 보면서 적절하게 코드를 작성해주자.
유의할 점은 C로 코드를 작성하였을 경우, 배열 리스트 자체를 삭제할 때 동적 할당 되어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반드시!! free 함수를 써 줘야 하는 것이다.
'IT, 프로그래밍 > 자료구조, 알고리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순 연결 리스트 (Single Linked List) (2) 2018.01.29 연결 리스트 (LinkedList) (0) 2018.01.28 리스트 (List) (0) 2018.01.28 자료구조 기초 (0) 2018.01.28 알고리즘 기초 (0) 2018.0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