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
카카오 자동응답 API 사용시 쿠키 사용가능 여부IT, 프로그래밍/프로그래밍 일기 2018. 5. 3. 23:14
카톡봇을 만들던 중, 뒤로 가기 기능을 구현하기로 했는데 도저히 감이 잡히지 않았다. 그래서 생각했던게 1. 쿠키를 사용해서 버튼을 클릭할 때 마다 리턴되는 문자열을 토큰(#)을 이용해서 추가하고, 뒤로가기 버튼을 누르면 삭제하자 2. 서버에 해쉬맵을 만들어서 user_key를 키값으로 하는 경로 정보를 관리하자 이 두가지 방법을 생각했는데.. 카카오 팀에 문의해 본 결과, 쿠키는 지원하지 않는다고 한다! 대신 내가 2번째로 생각했던 방법을 추천해 주었다. 클라이언트 커넥션이 급속도로 늘어났을때 과연 이것이 효율적인 방법인지는 한 번 고민해 봐야겠다. 어쨌든 나는 뒤로가기를 누르면 맨 처음 루트 노드로 무조건 이동시키는 야매 방법을 사용하였다. 어차피 그래봤자 사용자는 많아봤자 3번 정도 밖에 더 터치 ..
-
땅콩죽 만들기기타/레시피 2018. 5. 3. 22:58
사진은 추후 업로드 예정 모든 계량컵은 종이컵 기준 준비물 : 생땅콩(1/3컵), 찹쌀(1컵) = 1인분 기준 1. 생땅콩은 끓는물에 약 5~7분간 팔팔 끓인다. 불은 센불로, 냄비 뚜껑은 열어놓고 2. 찹쌀은 약 10~12분간 찬물에 불린다 3. 생땅콩이 다 데쳐졌으면 찬물에 식힌다. 그리고 조금 기다리면 껍질이 퉁퉁 불어오른다. 이때 땅콩 껍데기를 모두 제거하면 된다. 4. 믹서기에 물을 약간 넣고 껍데기를 깐 땅콩을 간다. 5. 불려놓은 찹쌀을 물을 넣고 중불에서 끓인다. 물은 찹쌀이 잠긴 2배만큼 넣고 양을 보고 조금씩 더 넣자 6. 찹쌀이 약간씩 끓어오르면 갈아놓은 땅콩을 넣고 저어준다. 7. 끓어오르면 중불에서 약불로 바꾸고 국자나 나무 밥주걱으로 눌러붙지 않게 저어준다. 8. 찹쌀이 부드러워..
-
메타데이터(Meta-Data)IT, 프로그래밍/키워드로 공부하기 2018. 4. 1. 20:26
메타 데이터는 - 다른 데이터에 대해 주어지는 어떤 정보이다. 예를 들어 '아프니까 청춘이다' 라는 책이 Data 라면, 이 데이터에 연관된 저자명, 출판사정보, ISBN 등은 모두 Metadata가 됩니다. 종류 : Descriptive Metadata : Data에 연관되어, Data를 알아볼 수 있는 메타데이터 입니다. 즉 위에서 말한 책에 관한 케이스가 이런 데이터에 속합니다. StruturalMetadata : Metadata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어떤 것들로 이루어져 있는지를 나타내는 메타데이터 입니다. Administrative Metadata : 데이터의 자원을 관리하는데 도움이 되는 메타데이터 입니다. 이 데이터가 언제, 어떻게 만들어 졌는지, 기술 정보와 누가 접근할 수 있는지 등..
-
AWS - 플러스친구 api 서비스 작업 중 노트IT, 프로그래밍/프로그래밍 일기 2018. 3. 15. 00:33
1. AWS 인스턴스 보안 그룹 설정에 꼭 작업 중인 포트번호를 추가해 줘야 접근이 가능하다. (주의 !!! 포트포워딩 필수!!) 2. 옐로 아이디 rest api 테스트 받을때는 뒤에 /keyboard 빼고 적어야 함 (415 에러 뜨면 이거 의심) 3. message를 response 할때 keyboard 타입만 사용하고 싶어도 text를 꼭 같이 보내줘야한다. 4. 리눅스에서 listen EADDRINUSE ::: 포트번호 이런 에러가 뜨는 거는 포트가 사용중이라는 것을 의미. 즉 포트를 사용중인 프로세스가 존재한다. 이걸 죽여주는 명령어는 sudo killall -9 node (관리자 권한 필수) 추가로 ps ax 하면 현재 사용중인 포트 쫙나옴 5. 저장된 다른 파일 (swap 파일)이 있다는 ..
-
원형 연결 리스트 (Circular Linked List)IT, 프로그래밍/자료구조, 알고리즘 2018. 2. 11. 21:55
맨 마지막 노드의 포인터가 다시 첫 노드를 가리키는 연결 리스트 구조이다. 단순 연결 리스트에서는 이전에 위치한 노드를 탐색할 수 없다. 원형 연결 리스트에서는 이전 노드까지 계속 반복문을 돌다 보면 이전 노드에 도착할 수 있어서 편리하다. 목적지까지 한 번만 운행하는 열차와, 같은 구간을 도는 순환 열차를 생각하면 되겠다. 이번에는 헤드 포인터(Head pointer)를 사용해서 구현하는 법을 정리해 보겠다. 참고로 헤드 포인터란, 원형 연결 리스트 구조체 안에서 노드를 가리키는 포인터이다. 원형 연결 리스트는 맨 마지막 노드가 첫번째를 가리킨다는 조건이 있으므로, 노드의 삽입과 삭제 기능을 구현할 때 주의 해야 한다. ※ 밑에 헤드 포인터의 타입은 CircularListNode* 임. 현재 그림에 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