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
애자일 스크럼 정리 2 (스크럼 구성원)IT, 프로그래밍/개발론, 방법론 2018. 10. 12. 15:36
본 정리 자료는 T아카데미의 애자일(Agile) 강의를 정리한 자료입니다.--> 동영상 보러가기는 여기를 클릭하세요 스크럼 구성원 스크럼에 참여하는 사람은 아래와 같다. 제품 책임자 (Product Owner) : 클라이언트와 스크럼 팀 사이에서 의견을 취합하여 제품의 특성과 기능을 정의하여 백로그를 작성하고, 출시 일자와 내용을 결정한다. 수익성에 대한 책임이 있고 시장 가치에 따라 구현할 특성과 기능에 우선순위를 부여한다. 스크럼 마스터 (Scrum Master) : 팀이 완전히 생산적이고 기능적이게 움직일 수 있도록 보장해 준다. 외부에서 간섭하고 방해하는 장애물을 제거하여 팀을 보호하고 스크럼 프로세스가 준수되도록 보장한다. 일일 스크럼, 스프린트 계획 및 리뷰회의에 참석한다. 이해 관계자 : 제..
-
애자일 스크럼 정리 1 (스크럼 개념/ 백로그 / 번다운 차트)IT, 프로그래밍/개발론, 방법론 2018. 10. 12. 13:59
본 정리 자료는 T아카데미의 애자일(Agile) 강의를 정리한 자료입니다.--> 동영상 보러가기는 여기를 클릭하세요 애자일(Agile)이란? 폭포수모델이라고 불리는 기존의 계획, 디자인, 설계, 코딩, 배포 순으로 이루어지는 개발 프로세스는 클라이언트가 실제 결과물을 확인할 때 까지 시간이 오래걸린다. 그리고 구현시 설계와 달라지는 경우가 매우 많아, 그에 대응하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이런 부작용들은 납기지연, 예산초과, 철야근무 등을 초래한다. 애자일은 이런 단방향적인 개발 모델이 아니라, 짧은 주기를 가지고 눈에 보이는 결과물을 만들어내며 클라이언트와 소통한다.그 다음 주기에서는 수정사항을 반영하여 계획하고, 개발을 수행한다. 이런 주기를 계속 반복하여 최종적으로는 클라이언트가 원하는 제품에 가..
-
-
젠킨스 - Git 스프링 프로젝트 배포시 별도 설정파일로 키값 숨기기IT, 프로그래밍/Jenkins 2018. 10. 5. 16:00
보통 프로젝트를 진행하면 DB 커넥션에 관한 계정에 대한 정보와 API키 등을 설정파일에 적어두어 연결 시 사용합니다. 문제는 Git의 원격 저장소에 push되어 소스가 올라갈 때 이런 중요한 설정 정보들도 그대로 올라간다는 점인데요. 만약 이를 방지하기 위해 .gitignore로 설정하면, 원격 저장소로 푸쉬될 때 파일 자체가 올라가지 않아 젠킨스로 배포시 문제가 생기게 됩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로컬 pc에 설정파일을 저장한 후에, 이 파일에서 중요한 정보들을 가져오는 방식을 사용 하겠습니다. (이 방법도 사실 파일 경로가 올라가야해서 적합한 방식이라고는 할 수는 없습니다.) 1. 우선 로컬환경에 적합한 경로를 골라 파일명.properties 파일을 생성해 줍니다. 2. 파일에 매핑할 요소를 ..
-
스프링 restTemplate + JAXB + 공공데이터 API로 공휴일 정보 받기IT, 프로그래밍/Spring 2018. 10. 3. 18:14
서비스를 만들다보면 평일과 휴일로 나누어 정보를 제공해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예를 들면 운영시간표가 주말과 평일이 다르거나 하는 경우에 나눠 줄 필요가 있는데, 주말 같은 경우는 Java에서 제공해 주는 Date 관련 클래스로 간단하게 처리를 하면 되지만 공휴일 같은 경우는 제공해 주지 않습니다. 한국에 있는 공휴일은 현재 공공데이터 API를 통해서 받아볼 수 있으니 활용 해 봅시다. https://www.data.go.kr/dataset/15012690/openapi.do 만약 안나오시는 분들은 공공데이터 api 페이지로 가셔서 '특일 정보'라고 검색하시면 나옵니다. 가운데 보시면 상세기능이 있습니다. 여기서 공휴일 정보를 클릭 해 줍시다 여기에 보시면 활용신청이 있는데요. 공공데이터 api 서비스..
-
https 보안 인증서 사용 시 혼합 콘텐츠 문제.IT, 프로그래밍/프로그래밍 일기 2018. 10. 1. 20:55
SSL 인증서를 웹 서버에 적용하였다면, 이렇게 브라우저에서 신뢰하는 보안 컨텐츠로 표시가 된다. 그러나 HTTPS로 전송을 하더라도, 내부에 HTTPS가 아닌 HTTP를 사용하는 리소스가 포함되어 있다면 크롬에서는 안전하지 않은 콘텐츠로 판단하여 해당 리소스는 로드 하지 않는다. 어떤 콘텐츠 때문에 로드되지 않는 건지 확인하려면 개발자 도구에서 확인해 보면 된다. 이런 점은 개발할 때 많은 신경을 쏟아야 할 부분인 듯 싶다. 단순한 리소스라고 하더라도, 경고가 뜨면 유저들에게는 불안감을 심어줄 수 있을듯 하다.